← 메인으로 돌아가기

만나이 가이드

2023년 법 개정으로 통일된 만나이 제도와 계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만나이란?

만나이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생일이 지날 때만 나이가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992년 10월 2일에 태어났다면
년 10월 1일에는 만 세, 년 10월 2일 생일이 지나면 만 세가 됩니다.

왜 만나이로 통일되었을까?

대한민국에서는 과거에 한국식 나이, 연 나이, 만나이가 혼용되어 혼란이 많았습니다.
특히 법률·행정에서 기준이 달라 생활에서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았죠.
이에 따라 2023년 6월 28일부로 모든 공적 영역에서 만나이 기준이 공식 채택되었습니다.

다른 나이 계산 방식과 비교

구분 정의 예시(1992-10-02 기준,
)
만나이 생일이 지나야 1살 증가
연 나이 올해 − 출생연도
한국식 나이(폐지) 태어나면 1세, 해마다 1월 1일에 한 살 증가

자주 묻는 질문

Q. 모든 제도가 만나이로 바뀌었나요?

A. 행정·법률상 제도는 만나이 기준으로 통일되었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한국식 나이가 여전히 쓰이기도 합니다.

Q. 연 나이는 어디에 쓰이나요?

A. 연 나이는 통계나 설문 등 일부 비공식 영역에서만 참고용으로 쓰입니다.

Q. 국제식 나이와 다른 건가요?

A. 만나이 = 국제식 나이와 동일합니다. 한국도 이제 국제 기준과 일치합니다.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