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이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오늘 날짜와의 차이를 연·월·일 단위로 계산해 산출합니다. 생일이 지났을 때만 한 살이 증가하며, 생일 전에는 전년도 나이가 유지됩니다. 본 계산기는 양력 기준으로 동작하고, 시간대/서머타임에 따른 시·분 정보는 배제하여 날짜 단위만 사용합니다. 윤년과 말일(예: 2월 29일 출생)도 예외 없이 처리하며, 윤년이 아닌 해의 2월 29일은 통상 2월 28일 또는 3월 1일을 기준으로 간주하는 관행을 안내합니다. 결과는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적 판단이 필요한 경우 관계 기관의 최신 안내를 확인해야 합니다. 입력값은 브라우저 내에서 처리되며 서버로 저장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2023년 6월부터 공적 영역에서 만나이로 통일되었습니다. 일상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표현이 혼용되기도 하지만, 행정·법률 등 공식 절차에서는 만나이가 기준입니다. 아래 표는 용어별 정의와 예시를 간단히 정리한 것입니다.
| 종류 | 정의 | 예시(1992-10-02) |
|---|---|---|
| 만나이 | 생일이 지나야 +1 | 2025-10-07 기준 33세 |
| 연나이 | 올해 − 출생연도 | 2025년 기준 33세 |
A. 본 계산기는 양력 기준입니다. 음력 생일은 해당 연도의 양력 환산일을 확인한 뒤 입력해 주세요.
A. 윤년이 아닌 해에는 통상 2월 28일 또는 3월 1일을 기준으로 간주하는 관행이 있으며, 기관별 안내를 확인하세요.
A. 일반 정보 제공용입니다. 법적 판단은 관계 법령과 기관 고시를 우선합니다.
A. 아니요. 계산은 브라우저에서 처리되며 서버로 전송/저장하지 않습니다.
A. 날짜만 계산하므로 시·분·타임존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A. 연나이는 ‘올해 − 출생연도’로 계산한 개념이며, 공적 영역에서는 만나이가 기준입니다.
A. 네, 반응형으로 동작하며 주요 모바일 브라우저를 지원합니다.
A. 입력값을 수정하면 즉시 재계산됩니다. 비정상 날짜는 오류 안내가 표시됩니다.
본 서비스는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행정·법률상 효력은 관계 법령 및 기관 안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책·제도는 지자체·기관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